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Watch out, Aadhaar biometrics are an easy target for hackers

Aadhaar is a 12-digit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ssued by the Indian government to each Indian citizen. The Unique Identification Authority of India (UDAI), which functions under the Planning Commission of India, is responsible for managing Aadhaar numbers and Aadhaar identification cards. The purpose of Aadhaar cards is to have a single, unique identification document or number that links a consumer’s entire details including demographic and biometric information. The Aadhaar card/UID does not replace the other identification documents but can be used as the sole identification proof when applying services that require identification. It also serves as the basis for Know Your Customer (KYC) norms used by banks, financial institutions and other businesses that maintain customer profiles. Risk of Aadhaar biometrics Biometric data, unlike passwords, can never be changed, so if hackers successfully impersonate a fingerprint then they can cause serious havoc, and there is not much the...
최근 글

Security trends 2018: biometric hacking, state-sponsored attacks, daring cyber heists

What does 2018 have in store for cyber security, and could it possibly be worse than this year? There are only a couple of near-certainties for cybersecurity in 2018: that the market will continue to be buoyant and that attacks will become more sophisticated. Gartner predicts worldwide security spending will reach $96 billion in 2018, up eight percent from this year –  good news for the cyber security industrial complex .   Image credit: iStock It’s easy to see why. If any year can lay claim to be the one where cybersecurity problems really entered mainstream discourse, 2017 is a good candidate. The year got started with a hangover from 2016 that suggested Russian interference in the run-up to America’s election, and possible interference in the Brexit vote from coordinated astroturfing campaigns on social media and forums. That wheel kept turning and now ‘state sponsored’ has become something of a synonym, whether correctly or not, for ‘Russia’ – with busine...

The World's Largest Biometric ID System Keeps Getting Hacked

The personal data of many of India's citizens is for sale on WhatsApp for less than $10. Critics of India’s Aadhaar—the world’s largest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have been vocal about its infrastructural flaws for years. Their fears have turned into reality as the list of security breaches into the system keeps growing.  Access to the personal data of more than 1 billion people  is for sale for less than $10  through WhatsApp. India’s  The Tribune  newspaper was able to buy the data and also claimed that it could buy software that would allow them to print fake Aadhaar cards for about $5 more.  Image: Priyanka Parashar/Getty Aadhaar data includes fingerprints, retina scans, names, addresses, and phone numbers through which SIM cards can be purchased, and important government services and bank accounts can be accessed. According to multiple reports,  biometric data  was not exposed on WhatsApp, but names, addresses, emai...

지문인식 정맥인식 홍채인식, 생체인증은 과연 안전한가

지문, 정맥, 홍채 등 개인별로 서로 다른 생체정보를 활용한 생체인증은 최근 급속도로 종류와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생체인증은 기존 보안기술보다 편리성과 보안성에서 앞서지만 아직 완벽한 보안시스템이 아니라는 평가도 받는다. ▲ 삼성전자의 지문인식 기반 간편결제서비스 '삼성페이'를 사용하는 모습.<삼성전자> 7일 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2023년까지 탑승수속, 출국심사 등 항공기 탑승 전 과정에 생체인증을 활용한 본인확인 서비스를 적용한다. 국토교통부는 1월부터 국내선 탑승수속에 지문인식 시스템을 도입하고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내년부터는 단계적으로 생체인증을 통한 항공권 확인 서비스도 도입한다. 생체인증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는 점점 적용분야를 넓혀가고 있다. 지문인증을 통해 쉽게 송금할 수 있는 비바리퍼블리카의 ‘토스’는 지난해 12월 기준 가입자 650만 명을 유치했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지문인식 기술을 활용한 ‘삼성페이’도 지난해 11월 말 기준 가입자수 900만 명을 돌파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신한은행이 지난 2015년 국내 최초로 손바닥 정맥을 통한 인증시스템을 도입했고 KB국민은행도 손바닥 정맥을 이용한 본인확인 인증절차를 뒤따라 도입했다. 지문과 홍채인식을 본인인증에 적용한 은행은 KEB하나은행, 대구은행 등 10곳에 이른다. 생체인증이 비밀번호나 보안카드 등 기존 보안기술보다 편리하고 보안성도 높지만 완벽하지 않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최근 주목을 끌었던 ‘아이폰X’의 얼굴인식 기술이 대표적이다. 애플은 지난해 신작 아이폰X를 출시하면서 보안기술로 사용자의 얼굴을 3차원으로 인식하는 ‘페이스ID’를 선보였다. 페이스ID는 출시 전부터 보안성 문제가 논란이 됐다. 서로 얼굴 모양이 비슷한 사람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실제 출시 뒤 쌍둥이가 서로의 페이스ID 정보로 잠금해제하는 장면이 유튜브를 통해 공유되기도 했다. 독일 해킹팀 CCC가 고성능 카메라로 지문정보 추출하거...

지문 넘어 정맥·홍채로...4000억원 '생체인증' 선점경쟁

4000억원 규모 국내 생체인증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관련 업체 경쟁이 치열하다. 생체인증시스템이 현금자동입출금기( ATM )부터 공항 신분확인, 기업 출입관리까지 다양한 분야로 확대된다. 지문인증을 넘어 손바닥, 손가락 정맥(장정맥, 지정맥)과 안면, 홍채 등 다양한 신체 부위를 활용한 인증 솔루션이 각광 받는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Sh 수협은행은 장정맥 기반 금융서비스를  ATM 에 먼저 적용한다. 자체 기기에 도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장정맥 인증 확산을 위해 타행· GS 리테일과 제휴도 추진한다.  GS 25 편의점 내  ATM 에서 장정맥 인증으로 입·출금, 계좌이체 등이 가능해진다. 신협중앙회는 손가락 정맥패턴을 이용한 '지정맥' 인증 시스템을 고객 간편결제 서비스에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지난해 시스템 통제와 임직원 확인용 지정맥 인증을 사내 도입했다. 생체인증은 금융권 중심으로  ATM 과 개인금고, 공항, 기업 출입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된다. 한국후지쯔는 신한은행 시작으로 국민은행, 우리은행,  NH 증권, 롯데카드, 케이뱅크 등에 장정맥 인증 서비스 '팜시큐어'를 공급했다. 제주·김포공항에 장정맥을 이용한 실명확인 시스템을 구축했다. 동서석유화학,  SK 텔링크 등 일반 기업도 도입했다. LG 히다찌는 지정맥 인증 서비스를 신협중앙회 사내통제시스템뿐 아니라  BNK 부산은행 스마트  ATM 에도 공급했다. 부산은행은  ATM 뿐 아니라 은행창구 등에도 지정맥을 활용한다.  LG 히다찌는 신한카드, 나이스정보통신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오프라인 간편결제로 지정맥 활용 준비 작업에 나섰다. 계명대 동산의료원과도 업무협약을 맺고 병원 인증시스템 도입도 검토한다. 국내 스타트업 위닝아이는 카메라를 이용한 손바닥 인증 기술을 전북은행 '뉴스마트뱅킹', 한화손해보험 '스마트인슈', 신영증권 등에 공급했다. 현대모비스와 손잡고 차량용 인증 기술 개...